본문 바로가기
IT인으로 살아가기

MPLS에 대해서 쉽게 알려 드릴께요.

by 가올양 2025. 2. 23.
반응형

MPL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개념 요약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기술로, 패킷 스위칭과 회선 스위칭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이다. 기존의 IP 라우팅 방식은 각 라우터가 패킷의 헤더를 읽고 목적지까지 가는 경로를 일일이 결정하는 반면, MPLS는 패킷에 **레이블(Label)**을 붙여 네트워크를 통해 더 빠르게 전달하도록 한다.

📌 MPLS의 핵심 개념

  1. 레이블(Label) 기반 포워딩
    • MPLS는 패킷에 특정한 숫자로 된 레이블을 붙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한다.
    • 각 노드(라우터)는 목적지 IP 주소를 해석하는 대신 이 레이블만 확인하고 패킷을 전달하므로 속도가 빨라진다.
  2. Label Switching Router(LSR)
    • MPLS 네트워크에서 패킷을 전달하는 라우터를 **Label Switching Router(LSR)**라고 한다.
    • 처음 패킷이 들어올 때 **LER(Label Edge Router)**가 라벨을 붙이고, 중간 LSR들은 라벨만 보고 포워딩한다.
  3. Label Switched Path (LSP)
    • 패킷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동안 거치는 고정된 경로를 LSP라고 한다.
    • 라우팅 테이블을 매번 조회하지 않고 사전에 설정된 경로를 따라가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
  4. MPLS Forwarding 방식
    • Label Push: MPLS 네트워크에 처음 진입할 때 라벨을 부여
    • Label Swap: 중간 라우터에서 기존 라벨을 새로운 라벨로 변경
    • Label Pop: 목적지에 도달할 때 라벨 제거

🚀 MPLS의 장점

빠른 속도: 레이블 기반 스위칭으로 IP 라우팅보다 속도가 빠름
QoS(서비스 품질) 보장: 특정 트래픽(예: 음성, 비디오 등)에 우선순위를 부여 가능
트래픽 엔지니어링(TE): 네트워크 경로를 미리 최적화하여 혼잡을 방지
VPN 지원: MPLS를 이용해 기업 간 VPN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성 가능

🔍 MPLS vs 기존 IP 라우팅

구분IP 라우팅MPLS

경로 결정 방식 목적지 IP 기반 레이블 기반
처리 속도 상대적으로 느림 빠름
QoS 지원 제한적 강력한 QoS 제공
트래픽 엔지니어링 불가능하거나 제한적 가능

🎯 MPLS의 활용 사례

  • 대기업, 금융권, 통신사 등에서 WAN(광역 네트워크) 구축
  • MPLS VPN을 이용한 안전한 기업 내부 네트워크 구성
  • 5G 및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간 고속 연결
  • VoIP, 동영상 스트리밍 등 **고품질 서비스(QoS)**가 필요한 환경

MPLS는 기존 IP 라우팅의 비효율성을 보완하고, 빠르고 안정적인 네트워크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기업 및 통신 인프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VPN, QoS, 트래픽 엔지니어링 같은 기능을 지원해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한다.

 

반응형